Post

리눅스 기반의 홈 서버 구축하기 (3)

리눅스 기반의 홈 서버 구축하기 (3)

이번 포스팅에서는 서버에 도메인을 연결하고, 포트포워딩을 설정하여 외부에서 접근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이전 포스팅을 먼저 참고하시면, 더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리눅스 기반의 홈 서버 구축하기 (1)
리눅스 기반의 홈 서버 구축하기 (2)

1. 공유기 설정


서버 도메인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공유기의 외부 IP 주소를 알아야 합니다.
각자 공유기 관리자 페이지에 접속하여 확인할 수 있으며, 필자의 경우 ipTIME을 사용하기 때문에, 192.168.0.1으로 접속했습니다.

iptime_settings

공유기 설정에서는 위와 같이 외부 IP 주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만약 외부 IP 주소가 192.x.x.x, 172.x.x.x, 10.x.x.x 와 같은 형태라면 이는 사설 IP 입니다.
도메인 연결을 위해서는 공인 IP가 필요하기 때문에, 각 인터넷 통신사별 모뎀 관리자 페이지에 접속하여 NAT 모드를 브릿지 모드로 변경해야 합니다.

참고 자료: SK broadband, KT, LG U+

2. 도메인 DNS 설정


외부 IP 주소 확인이 완료되었다면, 도메인을 서버와 연결하는 작업을 진행합니다.
사용중인 도메인 호스팅 업체의 DNS 관리 페이지로 들어가, 공유기 외부 IP 주소를 값으로 가진 레코드를 하나 추가하고 저장하면 끝입니다. 레코드 타입과 호스트 명은 자유롭게 설정해주셔도 좋습니다.

gabia_dns

3. 포트포워딩


마지막으로, 외부에서 특정 포트를 통해 도메인을 타고 서버에 원격 접속이 가능하도록 포트포워딩을 합니다.
ipTIME의 경우 다음과 같이 고급 설정 > NAT/라우터 관리 > 포트포워드 설정 에서 설정 가능합니다.

iptime_port_forward

  • 규칙이름: 자유롭게 설정합니다.
  • 내부 IP주소: 홈 서버에 할당한 고정 IP 주소를 입력합니다.
  • 외부 포트: 외부에서 접속할 때 사용할 포트 범위를 입력합니다.
  • 내부 포트: SSH 설정에서 할당한 포트 번호를 내부 포트로 지정합니다.

4. 원격 접속 확인


모든 과정이 끝났다면, 도메인을 사용하여 서버 원격 접속 테스트를 할 시간입니다.

1
ssh <유저 이름>@<도메인 주소> [옵션: -p <포트 번호>]

아래는 예시입니다.

1
2
ssh myuser@myhomeserver.com
ssh myuser@myhomeserver.com -p 2222

마무리


서버 도메인 연결과 포트포워딩을 마무리로 홈 서버 구축이 끝났습니다.
홈 서버는 NAS, 미디어 서버, 웹 서비스 등의 여러 방면으로 활용 가능합니다.
홈 서버를 구축하고,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기를 바랍니다.

지금까지 홈 서버 구축 포스팅 시리즈였습니다.
감사합니다.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